[교육칼럼] 대한민국 교육혁명 – 교과서를 버려라!

자유발행제로 우리 학생들에게 창의와 다양성 교육을
30~40년 전에 고등학교 졸업한 나이 든 꼰대들이 수능시험 출제

  • Editor. 김재봉 선임기자
  • 입력 2022.02.22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뉴스=김재봉 선임기자] 한국은 교과서를 만드는 출판사에서 제작하는 과목별 교재를 받아 교과서로 선정하고 그 책에 나온 내용으로 학생들에게 교육한다.

출판사는 다양하지만, 교과서를 제작하는 출판사의 대부분 교과서는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거의 같은 교과 진도로 수업을 할 수 있어서 학교가 다르고 선택한 교과서 출판사가 달라도 한국학생들은 전국 어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전학을 가도 수업을 따라가는 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더욱이 초등학교의 경우 주요 과목들이 여전히 국정교과서로 구성되어 있다.

더뉴스 김재봉 선임기자
더뉴스 김재봉 선임기자

20세기 말부터 한국 교육계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다양성 및 자율성 등 교육정책입안자들의 생각에 진보적이고 민주적이라고 생각되는 다양한 용어들을 들고나왔지만, 실상 학교 교육현장에서 창의적인 교육과 다양성이 보장되고 학생 자율권이 보장되는 수업은 거의 실현되지 못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불기 시작한 교육변화의 바람도 중학교에 진학하는 순간 3년 후 고등학교 진학과 동시에 시작되는 수능이란 체제에 길들여지기 시작하는 단계에 불과하다.

한국 공교육을 망친 주범은 자칭타칭 말하는 교육전문가들, 그리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능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결정하는 구시대 사람들에 의해 자행됐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자체가 구시대 사람들이다.

최소 30~40년 전에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50대나 60대가 된 사람들이 고3 수험생들을 위한 시험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지난 2005년부터 최근까지 과목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및 검토위원장 명단만 봐도 나이 든 대학 교수들이다.

국정교과서와 검인정교과서를 통해 출판사는 다르지만, 획일화된 교과서로 배우는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미래가 존재할 틈이 있을까?

매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면 한국에서는 왜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지 방송과 언론사는 기획기사를 올리거나 특집방송을 편성한다.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매년 반복되는 방송과 언론사의 연례행사다.

건강하고 건전한 개인주의, 창의성, 다양성, 독창성, 자율성을 죽이는 교과서와 교육방식으로 대한민국 학생들을 교육하면서 “노벨상은 왜 못 받나?”라고 질문하는 것은 잔인하다. 이는 마치 먹을 수 있는 밥상도 차려주지 않고 “얘, 너는 왜 밥을 먹지 않니?”라고 묻는 것과 동일하다.

한국 교육에서도 국정교과서에서 검인정으로 많이 변화했지만, 여전히 획일화된 교육임은 틀림 없다.

한때 박근혜 정권이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되돌리려고 했던 것도 교육정책을 생각하는 수준이 자신들이 겪었던 국정교과서 틀에서 못 벗어났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교육부장관을 비롯한 교육감, 그리고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대부분 사람이 자신들이 겪은 경험 안에서 ‘생각의 틀’을 깨지 못하므로 ‘국정교과서는 나쁘고 검인정교과서를 해야 한다’는 생각만 할 줄 안다. 검인정교과서 말고 자유발행제라는 좋은 제도가 있다는 것에 시선을 주지 않으려고 한다.

국어 교과서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협의해 문학책, 시집, 수필집, 글쓰기 관련 책 등에서 한 권씩 선택해 현행 국어공부를 대신하는 것이다. 영어는 영미소설 중 한 권을 선택해 그 책으로 배우고, 듣기와 말하기, 영작문을 강화해 고등학교 졸업만으로 영어에 대한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수학, 과학, 사회 등에 대해서도 출판된 다양한 책 중에서 1~2권을 선택해 학교 교육을 진행하면 된다.

대한민국은 교육혁명이 필요하다. 50대 60대를 넘어 심지어 70대까지 종종 보이는 한국의 교육 꼰대들이 만드는 후진적인 교육정책에서 탈피해야 한다.

먼저 행정부 중 교육부는 폐지해야 한다. 국가가 교육의 큰 틀을 제시하고 교육을 통제하는 시대는 후진적인 정부 시스템이다. 교육을 행정이란 틀에서 바라보게 하고 행정이란 틀 안에서 진행되도록 강제해서는 안 된다.

둘째는 수능시험을 즉각 폐지해야 한다. 수능이란 획일적인 시험으로 대학입학을 결정해서는 안 된다. 특히 초·증·고등학교 9년의 세월을 보내면서 학생들의 미래가 수능이란 시험 하나로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

셋째는 지방선거 교육감후보들이 정치적인 이득을 위해 교육을 이용하는 것은 중단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는 잘된 일이지만,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김상곤 경기도교육감 후보가 들고나온 무상급식 논쟁은 교육으로 풀어야 할 문제를 정치로 끌고 온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결국 오세훈 서울시장의 중도 사퇴로 연결되기도 했다. 즉, 교육분야 문제가 정치로 변질된 대표적인 사례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카르페 디엠(Carpe diem)을 말하고 있는 존 키팅 교사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카르페 디엠(Carpe diem)을 말하고 있는 존 키팅 교사

다음은 교과서 자유발행제를 시행하고 있는 몇 개 나라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외에도 많은 나라들이 있다.

프랑스는 교과서의 발행과 사용에는 개입하지 않지만 교육과정이 반영되도록 출판사 및 저자 대상의 연수와 교육과정 해설서 등을 보급한다. 학교에서는 교과서 견본을 검토하고 교사나 교과 협의회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과서를 선정한다.

영국은 교과서에 대한 의무사용이나 정부의 규제 등이 거의 없고, 학교나 교사의 자율권이 보장되어 있으며, 교과서를 교수학습 자료의 한 종류로 인식하고 있다. 출판사는 정부의 통제나 규제가 없이 경쟁적인 시장 논리를 통해 자체적인 검토 및 제작 과정에 따라 질 관리를 하고 있다.

덴마크는 교과서의 개발이나 승인과 관련하여 정부에서 관여하거나 지침을 제공하지 않는다. 현장 교사나 혹은 현장 교사와 교사양성 기관의 교수로 집필진을 구성하여 자유로이 교과서를 발행하며, 발행된 교과서의 선택은 교사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하여 사용한다.

호주는 자유발행제를 채택하며 특정 교과서의 사용 혹은 교과서 자체를 사용해야 한다는 등의 규정이 없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적용 및 전개에 있어서 유연성이 있으며, 자유로운 학교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출판사는 자유롭게 교과서를 개발하며, 교과서를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 가운데 하나로 인식힌다. 교과서의 공급에서 국가나 교육 당국은 개입하지 않으며, 출판사의 공급 방식을 단위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참조] 카르페 디엠(Carpe diem)은 호라티우스의 라틴어 시 한 구절로부터 유래한 말이다. 이 명언은 번역된 구절인 현재를 잡아라(Seize the day)로도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THE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24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
모바일버전